맨위로가기

다리우스 외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리우스 외전은 타이토가 제작한 1994년 2D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다리우스 시리즈의 세 번째 아케이드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우주선 실버 호크를 조종하여 벨사르 제국을 파괴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무기를 업그레이드하고 블랙홀 폭탄과 같은 특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게임은 비선형 레벨 진행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총 27개의 스테이지를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다. 다리우스 외전은 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PC 등으로 이식되었으며, 2019년에는 닌텐도 스위치용 다리우스 코즈믹 컬렉션에 포함되었다. 이 게임은 독특한 게임플레이, 그래픽, 사운드트랙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아케이드판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토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타이토 게임 - 퍼즐 보블 4
    《퍼즐 보블 4》는 같은 색 버블을 연결해 터뜨리는 퍼즐 게임으로, 도르래 시스템과 연쇄 반응 기능을 추가하고 다양한 싱글/멀티 플레이 모드와 개성 넘치는 캐릭터, 보스 대결 스토리를 제공하며 여러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1994년 비디오 게임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1994년 비디오 게임 - 라이브 어 라이브
    라이브 어 라이브는 1994년 슈퍼 패미컴으로 출시된 스퀘어의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이며, 9개의 시나리오와 8명의 주인공을 통해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턴제 전략 전투 시스템을 제공하고, 2022년에는 HD-2D 그래픽 스타일로 리메이크되었다.
  • 세가 새턴 게임 - 마리의 아틀리에: 잘부르그의 연금술사
    마리의 아틀리에: 잘부르그의 연금술사는 1997년 발매된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이자 연금술을 소재로 한 아틀리에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연금술 학교 학생 마를로네가 졸업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연금술을 배우고 재료를 채집하며 아이템을 제작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턴제 전투, 다양한 엔딩, 아틀리에 운영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2023년에는 HD 리메이크 버전이 출시되었다.
  • 세가 새턴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다리우스 외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리우스 외전 포스터, 빨간색과 파란색 실버 호크(플레이어의 함선)가 게임의 첫 번째 보스인 골든 오우거와 싸우는 모습. 흰색과 청록색 그라데이션으로 표시된 게임 로고가 하단에 표시되고, 타이토 로고가 상단에 표시됨.
프로모션 전단
장르횡스크롤 슈팅 게임
모드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플랫폼아케이드, 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윈도우
시리즈다리우스
개발
개발사타이토
프로듀서후지와라 히데히로
디자이너가토 히사카즈
기쿠치 마사미
오무라 나오토
구라바야시 아키라
나가야마 유타카
하라다 히데타카
도이 린타로
가네오카 가쓰미
오구라 히사요시
이시카와 가쓰히사
아티스트가토 히로카즈
기쿠치 마사미
마쓰무라 겐타로
프로그래머구라바야시 아키라
나가야마 유타카
오무라 나오토
하라다 히데타카
작곡가오구라 히사요시, 이시카와 가쓰히사
출시
아케이드
JP: 1994년 9월 19일
NA: 1994년
세가 새턴
JP: 1995년 12월 15일
NA: 1996년
EU: 1996년
플레이스테이션
JP: 1996년 12월 20일
윈도우
JP: 1999년 11월 19일
JP: 2004년 1월 16일
JP: 2004년 3월 5일
EU: 1998년
NA: 1999년
시스템
아케이드 시스템타이토 F3 시스템
중앙 처리 장치 (CPU)68EC020 (@ 16 MHz)
사운드MC68000 (@ 16 MHz), ES5505 (@ 15.23805 MHz), 강화된 스테레오(Amplified stereo)
디스플레이래스터 스캔, 가로 모니터, 320×232픽셀, 58.97Hz, 팔레트 8192색

2. 게임플레이

''다리우스 외전''은 2차원 횡스크롤 슈팅 게임이다.[1] 플레이어는 실버 호크(Silver Hawk)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조종하여, 인류의 새로운 고향인 행성 다리우스를 파괴하려는 벨사르 제국에 맞서 싸우게 된다.[1] 게임은 끊임없이 등장하는 적의 공격을 피하고 파괴하며, 동시에 지형 등의 장애물을 피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24] 2인 동시 플레이도 가능하다.[1]

플레이어가 적 무리에 블랙홀 폭탄을 발사하고 있다.


실버 호크는 기본적으로 전방으로 발사되는 미사일과 공중 투하 폭탄, 그리고 기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을 갖추고 있다. 이 능력들은 특정 색깔의 적을 파괴하면 나오는 색깔 있는 훈장(엠블럼) 모양의 아이템을 획득하여 강화할 수 있다.[2][1] 빨간색은 주무기인 미사일, 초록색은 공중 폭탄, 파란색은 보호막을 강화한다.[1][24]

이 게임의 특징적인 시스템으로는 블랙홀 폭탄미니 보스 포획 기능이 있다. 블랙홀 폭탄은 화면 상의 모든 적과 총알을 빨아들인 후 강력한 번개 공격을 가하는 특수 무기이다.[1] 또한, 스테이지 중간에 등장하는 미니 보스의 특정 부위를 파괴하여 나오는 '캡처 볼'을 획득하면, 해당 미니 보스를 일정 시간 동안 아군으로 만들어 함께 싸우게 할 수 있다.[24][1]

게임은 비선형적인 레벨 진행 방식을 채택하여, 이전 레벨을 완료한 후 다음 스테이지를 플레이어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총 27개의 스테이지가 존재하며, 한 번의 플레이에서는 7개의 스테이지를 경험하게 된다. 등장하는 적들은 물고기, 게, 해마 등 다양한 수생 생물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24] 각 스테이지의 마지막에는 거대한 보스가 등장하며, 이 보스들은 특정 약점을 공략해야만 물리칠 수 있다.[1]

2. 1. 조작 방법

8방향 레버와 2개의 버튼(공중 샷 & 폭탄, 폭격)을 사용하여 기체를 조작한다. 1P는 케이스가 탑승하는 빨간색 실버 호크를, 2P는 안나가 탑승하는 파란색 실버 호크를 조작하여 적을 쓰러뜨린다. 일부 오락실에서는 기본 조작 외에 3번째 버튼에 초당 30발의 싱크로 연사 기능을 추가하기도 했다.

2. 2. 새로운 요소



다리우스 외전에는 이전 시리즈에 없던 새로운 시스템들이 도입되었다.

; 폭탄(블랙홀 폭탄)

: 발동하면 화면 중앙에 블랙홀이 나타나 화면상의 적탄과 잡몹(일부 적 제외)을 모두 빨아들인다. 이후 강력한 번개가 발생하며 폭발하여 적에게 큰 피해를 준다.[1] 폭탄이 발동하는 몇 초 동안 플레이어 기체는 완전 무적이 된다(단, 지형 충돌은 피할 수 없다). 이는 긴급 회피나 보스에게 큰 피해를 입힐 때 유용하다. 슈팅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폭탄 시스템은 다라이어스 시리즈 중에서는 이 작품에 유일하게 존재한다.[25] 게임 시작 시 3개를 가지고 시작하며, 보라색 아이템을 획득하여 보충할 수 있다. 게임 클리어 시 남은 폭탄 개수당 300,000점의 보너스 점수가 주어진다.

; 캡처 볼

: 대부분의 스테이지 중간에 등장하는 중간 보스를 포획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24] 중간 보스의 특정 부위(주로 머리에 달린 구슬 형태)를 일정 횟수 공격하면 중간 보스의 움직임이 멈추고 '캡처 볼'이라는 구슬 아이템이 분리되어 나온다. 이 캡처 볼을 획득하면 해당 중간 보스가 일정 시간 동안 아군이 되어 함께 싸우며 적들을 공격한다.[26][1] 포획된 중간 보스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파괴된다.[1] 일부 중간 보스는 특정 커맨드를 입력하여 특수 공격을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게임 클리어 시 중간 보스를 포획한 횟수에 따라 1기당 200,000점의 보너스 점수가 주어진다.

: 중간 보스를 단순히 격파하면 20,000점을 얻지만, 캡처 볼을 공격하여 분리시키면 10,000점, 분리된 캡처 볼을 획득하면 30,000점을 추가로 얻는다. 단, 캡처한 중간 보스가 적을 쓰러뜨린 경우에는 점수가 들어오지 않으며, 적 편대 전멸 보너스도 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높은 점수를 노리는 플레이어는 중간 보스를 캡처한 후 화면 구석으로 유도하여 공격을 못 하게 하는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 후반 스테이지로 갈수록 캡처 볼의 내구도가 높아져 포획하기 어려워진다. 일부 중간 보스(예: 4면의 프리클리 앵글러)는 캡처 볼이 없어 포획할 수 없다.

2. 3. 파워업 시스템



플레이어 기체인 실버 호크는 특정 색깔의 적을 파괴하면 나오는 색깔 있는 훈장(엠블럼) 모양의 아이템을 획득하여 강화할 수 있다.[2] 각 아이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아이템 색상효과
빨간색전방으로 발사되는 주무기(미사일)의 길이와 위력이 증가한다.[1]
초록색공중 투하 폭탄(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획득하면 앞뒤로 움직이는 미사일 등으로 업그레이드된다.[1][24]
파란색기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아머)을 얻는다. 추가로 획득하면 더 강력한 보호막으로 업그레이드된다.[1][24]



또한, 실버 호크는 기본적으로 세 개의 블랙홀 폭탄을 가지고 시작한다. 이 폭탄을 사용하면 화면 상의 모든 적과 적탄을 빨아들이는 거대한 소용돌이가 생성된 후, 강력한 번개 공격으로 큰 피해를 준다.[1]

특수한 능력으로, 대부분의 스테이지 중간에 등장하는 미니 보스를 포획할 수 있다.[24] 미니 보스 머리 위의 에너지 구체를 파괴하고 그것을 획득하면, 해당 미니 보스는 잠시 동안 플레이어의 편이 되어 함께 싸우다가 자폭한다.[1]

3. 개발

''다리우스 외전''은 타이토가 개발한 ''다리우스'' 시리즈의 세 번째 아케이드 게임이자, 시리즈 전체로는 다섯 번째 작품이다. 개발은 프로듀서 후지하라 히데히로가 주도했으며, 디자이너이자 아티스트인 카토 히로카즈, 프로그래머 쿠라바야시 아키라 등이 참여했다. 후지하라는 초대 ''다리우스'' 제작에 참여한 경험은 있었으나, 시리즈에 깊이 관여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는 첫 작품의 팬이었으며, 전작들의 개념을 개선한 속편 제작을 원했다.[4]

개발 당시 타이토는 네오지오와 유사하게 롬 카트리지 교환으로 게임을 바꿀 수 있는 아케이드 기판인 F3 시스템을 출시했다.[3] 타이토는 새 기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유명 프랜차이즈 게임을 원했고, 이에 후지하라는 일본 내 인지도가 높은 ''다리우스'' 시리즈 신작을 제안했다. 타이토는 이를 승인하여 ''다리우스 외전'' 개발이 시작되었다.[4]

초대 ''다리우스''와 ''다리우스 II''는 3개의 모니터를 사용했지만, 카토 히로카즈는 이 방식이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판단하여 ''외전''에서는 단일 화면 디스플레이를 채택할 것을 주장했다. 개발팀은 게임을 재미있게 만들고 다른 슈팅 게임과 차별화하여 독창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4] 또한, F3 시스템의 기술적 성능(스프라이트 회전, 3D 효과 등)을 보여주고자 했다. 게임의 초기 제목은 ''다리우스 III''였으며, 이는 해외 마케팅 자료에서도 사용되었다.[5] 하지만 게임의 스토리가 ''다리우스 II''와 초대 ''다리우스'' 사이의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에, 카토는 '외전(外伝)'이 일본어로 '사이드 스토리'를 의미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다리우스 외전''으로 제목을 결정했다.[4]

팀은 ''외전''이 신선하게 느껴지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시리즈의 핵심 요소(유사한 스테이지 구성, 킹 포실과 버밀리온 코로너투스 같은 보스, 스토리라인 등)를 유지하여 정식 속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4] 게임의 시각적 표현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프로그래머들은 F3 시스템의 성능을 활용한 화려한 효과를 다수 구현했으나, 이로 인해 스프라이트 제작 과정이 복잡해지기도 했다. 첫 스테이지 보스인 골든 오거(Golden Ogre)를 포함한 일부 캐릭터는 3D 모델을 미리 렌더링하여 2D 스프라이트로 제작되었다. 중간 보스 포획 시스템은 과거 타이토 게임에서 가져온 아이디어였으나, 게임을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들거나 밸런스를 해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최종 버전에서 제외될 뻔했다.[4]

''다리우스 외전''의 음악은 타이토의 사내 밴드인 준타타(Zuntata)가 작곡했다.[7][15] 밴드의 리더이자 전작들의 작곡가인 오구라 히사요시가 음악 감독을 맡았다. 그는 융의 원형 개념을 바탕으로 음악을 오페라 형식으로 구상했으며, 작품 전체의 악곡은 '환시(幻視)'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 이에 대한 융 심리학적 해설은 사운드트랙 라이너 노트에 작곡가 본인이 직접 서술하였다. 그는 첫 번째 레벨 곡인 "Visionnerz"를 "음악적 형태로 표현된 자아의 붕괴"라고 설명하며, "진실은 눈앞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다른 출처의 가사를 사용했다.[6] 오구라는 음악을 통해 게임의 꿈과 같은 분위기와 스테이지를 표현하고자 했다.[6] 그는 인터뷰에서 "눈앞의 무언가가 변하고, 이전까지 진실이라 믿었던 것이 사실이 아님을 깨달았을 때의 충격과 정신적 붕괴"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밝혔다.[6] 밴드의 사운드 엔지니어인 이시카와 카츠히사가 게임의 효과음을 디자인했다.[7]

전체 사운드트랙은 순서대로 작곡되었으며, "Visionnerz"가 다른 곡들의 주요 영감이 되었다. ''외전''의 사운드트랙은 다른 타이토 게임과 달리 프로그래머와 사운드 디자이너 간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게임 플레이 및 효과음과 긴밀하게 동기화되었다.[7] 마지막 스테이지의 경우, 모든 스테이지에서 동일한 BGM을 사용하되, 스테이지 길이에 맞춰 곡의 시작 타이밍을 조절하여 보스가 등장하는 순간 항상 같은 파트가 재생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긴장감과 불길함을 고조시켰다. 오구라는 ''다리우스 외전''이 음악적 방향성 측면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사운드트랙이라고 언급했다.[7]

6면 시작 시 행성 다라이어스 대기권 돌입 장면은 게메스트에서 '슈팅 역사에 남는 연출'로 평가받았다.

개발 초기 버전의 존 A(1면)는 황폐한 도시를 배경으로 했으나, 1991년메탈 블랙의 1면 콘셉트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현재의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게메스트 무크 개발자 인터뷰에 따르면, 강력한 공격으로 유명한 보스 '크러스티 해머(CRUSTY HAMMER)'는 원래 존 A의 보스로, 빌딩을 파괴하며 등장하는 연출이 기획되었으나 최종 버전에서는 '골든 오거(GOLDEN OGRE)'로 교체되었다.
주요 제작진


  • 프로듀서: 후지와라 히데히로
  • 게임 디자인: 가토 히사카즈, 구라바야시 아키라, 기쿠치 마사미, 나가야마 유타카, 오무라 나오토, 하라다 히데타카, 도이 린타로, 가나오카 가쓰미, 오구라 히사요시, 이시카와 가쓰히사
  • 아트 디렉터: KAT(가토 히사카즈), 기쿠치 마사미, BAW-BAW(마쓰무라 겐타로)
  • 프로그래머: KURABAR(구라바야시 아키라), 나가야마 유타카, 오무라 나오토, 하라다 히데타카
  • 하드웨어 엔지니어: 가나오카 가쓰미
  • 데코레이터: 도이 린타로
  • 사운드 디렉터: OGR(ZUNTATA), 이시카와 가쓰히사 (ZUNTATA)

4. 스토리

벨서 제국에 의해 파괴되어 죽음의 별이 된 행성 다라이아스를 탈출한 인류는 '바디스'라는 행성에 도착하여 정착한다. 새로운 땅에서 평화를 되찾았지만, 고향 다라이아스를 향한 사람들의 그리움은 깊어졌고, 결국 다라이아스로의 귀환을 결의하게 된다.

그러나 귀환 준비가 진행되던 중, 두려워했던 벨서의 공격이 다시 시작된다. 이에 맞서 요격에 나선 실버 호크 부대는 적의 공격에 차례차례 격추당한다. 부대의 생존자인 케이스 아딘과 안나 슈타이너는 이제 적의 사령부가 되어버린 수백 광년 떨어진 고향 다라이아스를 향해 최후의 반격을 감행한다.

다라이어스 시리즈 전체 스토리 상으로는 첫 번째 작품인 다라이어스 (1987년)와 두 번째 작품인 다라이어스 II (1989년) 사이의 이야기로[27], 다라이어스력 1642년의 사건을 다룬다.

5. 스테이지 구성



이 게임은 플레이어가 이전 레벨을 완료한 후 원하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비선형 레벨 진행 시스템을 사용한다. 총 28개의 구역(스테이지)이 있으며[24], 플레이어는 구역 A에서 시작하여 분기되는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해 총 7개의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엔딩을 볼 수 있다. 각 레벨에서 플레이어는 실버 호크 우주선을 조종하여 끊임없이 나타나는 적 편대를 파괴하고, 적의 발사체와 장애물을 피해야 한다.[24] 등장하는 적들은 물고기, 게, 해마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24] 각 레벨의 마지막에는 거대 보스가 등장하며, 이들의 특정 약점(머리나 입 등)을 파괴하여 물리쳐야 한다.[1]

스테이지 루트에 따라 난이도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최종 보스 '그레이트 싱'을 목표로 하는 최상단 루트(A-B-D-G-K-P-Z')의 G 구역 이후가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꼽힌다. 이번 작품부터는 보호막(Arm)의 내구력에 상한선이 생겨, 전작들에 비해 피탄 허용 횟수가 줄어들었다.

'''다리우스 외전 EXTRA VERSION'''

로케 테스트 버전을 기반으로 했다고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타이토가 공식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버전이다. 이 때문에 유통된 수량은 매우 적다. 아이템 관련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루트에서 1UP 아이템이나 포획 가능한 중간 보스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나타나기도 하며, 일부 스테이지에서는 배경 그래픽이 표시되지 않거나(단, 충돌 판정은 정상 작동) 배경 음악(BGM)이 재생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EXTRA VERSION에서는 플레이어 측 기체(실버 호크)의 웨이브 샷이 1단계 더 강화되어, 최종 단계에서는 화면의 1/3을 덮는 거대한 웨이브를 발사할 수 있다. 또한, 블랙홀 폭탄(봄)의 최대 소지 가능 개수도 증가했다.

플레이 방식은 1P와 2P가 완전히 다르다.


  • 1P 플레이: 통상 버전의 28개 스테이지가 무작위로 섞인 상태에서 분기 선택을 포함하여 총 7개의 스테이지를 플레이한다. 1~6 스테이지는 통상 버전의 해당 순서 스테이지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되고, 마지막 7 스테이지는 통상 버전의 7번째 스테이지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다. 이 때문에 클리어한 스테이지 내용과 엔딩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2P 플레이: A 구역부터 V' 구역까지 총 28개의 모든 스테이지를 순서대로 플레이하는 모드이다. 스테이지 선택은 불가능하며 알파벳 순서대로 자동 진행된다. 통상 버전이나 1P 모드(최대 7 스테이지)와 달리 모든 스테이지를 플레이해야 하므로, 플레이 시간이 3시간을 넘기기도 한다. 이 모드에서만 샷 아이템의 색상이 통상 버전과 다르다.


두 모드 모두 A 버튼(샷 버튼)에 기본적으로 연사 기능이 할당되어 있어, 연사가 없는 일반 샷은 사용할 수 없다. C 버튼에는 일시 정지 기능이 있으며, 특정 조작을 통해 디버그 메뉴를 불러낼 수 있다. 이 메뉴에서는 충돌 판정 표시, 연사 속도 조절, 게임 난이도 조절, 심지어 무적 모드 설정까지 가능하므로, 오락실 등에서 가동할 경우에는 C 버튼의 배선을 제거하는 조치가 필요했다.

6. 이식

'''다리우스 외전'''은 아케이드 출시 이후 여러 가정용 게임기 및 개인용 컴퓨터로 이식되었다.

1995년 12월 15일 세가 새턴으로 처음 이식되었으며[51],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는 각각 1996년에 아클레임 엔터테인먼트와 인터플레이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출시되었다.[51][24] 새턴 버전은 시스템 제약으로 인해 사운드트랙이 일부 변경되었으나, 아케이드판을 거의 충실하게 이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연사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편리하다.

1996년 12월 13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일본에서만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반다이의 자회사인 B.B. 스튜디오에서 개발했으며, 3D 렌더링 모델을 사용한 새로운 오프닝 컷신이 추가되었다.[24] 그러나 게임 시작 직후부터 프레임 저하 현상이 눈에 띄며, 보스 폭발 효과 등 일부 연출이 생략되거나 스테이지 클리어 시 BGM이 단축되는 등 새턴판에 비해 아쉬운 점이 지적되었다.

1997년에는 Windows용으로 출시되었으며[51], 이후 2004년까지 사이버프론트, 미디어카이트 등 여러 회사를 통해 재발매되었다.

2005년 7월 28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 2용 합본 소프트웨어인 타이토 메모리즈 상권에 수록되었으며, 2006년에는 서양권에서 발매된 타이토 레전드 2에 포함되어 플레이스테이션 2, Xbox, PC로 다시 출시되었다.[10] PS2판(타이토 메모리즈)은 향상된 하드웨어 성능 덕분에 로딩 시 BGM 끊김 현상이 개선되고 일부 삭제되었던 연출이 복원되는 등 이식도가 향상되었으나, 조작 지연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초판은 이 문제가 심각하여 정상적인 플레이가 어려울 정도였으며, 이후 발매된 염가판에서 다소 개선되었다.

2019년 2월 28일에는 닌텐도 스위치용 합본 소프트웨어인 다라이어스 코즈믹 컬렉션에 아케이드판을 기반으로 이식되어 수록되었다.[11][35][36][37] 이후 2020년 3월 5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 4로, 추후 Steam으로도 발매될 예정이다.[38][39][40][41] 이 버전들은 M2가 개발을 담당했으며,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환경이 와이드스크린(16:9) 비율로 변화한 것을 고려하여 원본 화면비(4:3)를 유지하면서 화면 양옆에 각종 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가젯(Gadget)' 기능을 추가하는 등 현대적인 편의 기능이 구현되었다.[43]

2022년 3월 2일에는 타이토에서 출시한 복각 미니 게임기 이글렛 투 미니에 내장된 40개의 게임 중 하나로 수록되었다.[42]

다음은 다리우스 외전의 주요 이식 버전을 정리한 표이다.

No.제목발매일대응 기종개발원발매원미디어형식비고출처
1다라이어스 외전일본: 1995-12-15
북미: 1996년
유럽: 1996년
세가 새턴타이토일본: 타이토
북미: 아클레임 엔터테인먼트
유럽: 아클레임 엔터테인먼트
CD-ROM일본: T-1102G
북미: T-8123H
유럽: T-8123H-50
2다라이어스 외전일본: 1996-12-20PlayStation넥서스 인터랙트CD-ROMSLPS-00574
3PC 게임 Best 시리즈 Vol.17
다라이어스 외전
유럽: 1998년
일본: 1999-11-19
북미: 1999년
Windows사이버프론트유럽: Conspiracy Entertainment
일본: 사이버프론트
북미: 인터플레이 엔터테인먼트
CD-ROM일본: TOP-046
4유유 다라이어스 외전일본: 2004-03-05Windows사이버프론트미디어카이트CD-ROMMKY-056Windows 95/98/98SE/Me 대응
5타이토 메모리즈 상권일본: 2005-07-28플레이스테이션 2타이토타이토DVD-ROMSLPM-66057 (TCPS-10115)
6Taito Legends 2호주: 2006-03-30
유럽: 2006-03-31
북미: 2007-05-16
플레이스테이션 2
Xbox
Windows
타이토타이토DVD-ROMPS2: 유럽: SLES-53852
북미: SLUS-21349
7타이토 메모리즈 상권
TAITO BEST
일본: 2006-07-06플레이스테이션 2타이토타이토DVD-ROMSLPM-66402염가판
8타이토 메모리즈 상권
이터널 히츠
일본: 2007-06-28플레이스테이션 2타이토타이토DVD-ROMSLPM-66775재 염가판
9다라이어스 외전일본: 2019-02-28닌텐도 스위치M2타이토게임 카드
다운로드
-『다라이어스 코즈믹 컬렉션』에 수록
아케이드판의 이식
[35][36][37]
일본: 2020-03-05플레이스테이션 4다운로드-[38][39][40]
전세계: 미정Steam다운로드-[41]
10다라이어스 외전일본: 2022-03-02이글렛 투 미니즈이키타이토사전 설치--[42]


7. 평가

아케이드판아케이드로 처음 출시되었을 때, ''다리우스 외전''은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24][21] 일본 잡지 ''게메스트''는 1994년 "제8회 게메스트 대상"에서 이 게임에 여러 상을 수여했다. 독자 투표 결과 대상 7위, 베스트 슈팅상 3위(극상 파로디우스, 레이포스에 이어), 베스트 연출상 7위, 베스트 그래픽상 2위, 베스트 VGM(비디오 게임 음악)상 4위, 편집부 특별상을 수상했다. 또한 독자들은 이 게임을 올해 최고의 아케이드 게임 4위로 선정했다.[20] ''게메스트''는 파노라마 화면 같은 이전 시리즈의 특징에 의존하지 않고, 신선하고 흥미로운 게임플레이를 만든 점을 높이 평가했다. 잡지 스태프들은 게임 메커니즘, 사운드트랙, 그래픽 스타일, 전반적인 표현 방식을 칭찬했다.[20] ''게메스트'' 무크 『더 베스트 게임 2』(1998년)에서는 역대 아케이드 게임을 대상으로 한 독자 투표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명작·수작·천재적 타이틀'로 선정되었다. 필자 C・LAN은 시리즈 최초로 단일 화면을 사용했음에도 "다라이어스의 박력이 손상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도는 비약적으로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잘 짜인 적의 움직임과 게임 시스템을 칭찬했다. 또한 시리즈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신선함을 잃지 않았고, 플레이할 때의 안정감과 납득감을 주는 점을 들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매우 뛰어나고, 틀림없이 일급품의 풍격을 갖춘 게임"이라고 극찬했다.
가정용 게임기판''다리우스 외전''의 가정용 이식판, 특히 세가 새턴 버전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새턴 버전은 일본에서만 7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22] ''패미통''은 새턴 버전에 33점(40점 만점)을 부여하며 "골드 명예의 전당"에 올렸는데,[48] 이는 잡지에서 게임에 수여하는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이었다.[13] 반면,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은 합계 25점(40점 만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49]

여러 매체에서 게임플레이와 그래픽을 높이 평가했다.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EGM)의 리뷰어 4명은 새턴 버전의 3D 효과와 세밀한 디테일에 감탄하며 평균 7.375/10점을 주었고,[12][45] ''게임프로'' 역시 4/5점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6] ''게임팬''은 새턴 버전의 그래픽 품질을 SNK의 ''펄스타''에 비견하며 94%의 높은 점수를 주었다.[44][15] ''세가 새턴 매거진''의 래드 오토매틱은 새턴 버전의 그래픽과 액션 중심의 게임플레이, 특히 도전적인 난이도와 분기 경로 시스템을 칭찬하며 80% 점수를 주었다.[19][46] 반면, ''Next Generation''은 새턴 버전에 5점 만점에 2점을 주며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내렸다.[53][17]

사운드트랙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일부는 독특함을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다른 일부는 게임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세가 새턴 매거진''의 오토매틱은 음악을 "마치 올드 스파이스 광고처럼 뚱뚱한 여자가 지껄이는 것" 같다고 혹평하며 유일한 단점으로 꼽았다.[19] 반면 ''패미통''은 음악이 게임의 매력을 더한다고 주장했고,[13] ''게임팬''은 Zuntata의 작곡이 뛰어나며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고 평가했다.[15]

난이도에 대해서도 의견이 나뉘었다. EGM은 너무 높아서 게임을 불필요하게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지만,[12] ''세가 새턴 매거진''의 오토매틱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19]

이식도 측면에서는 세가 새턴 버전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게임팬''은 새턴 버전이 아케이드 버전보다 느려짐 현상이 적고 인상적인 그래픽 효과를 보여주어 더 낫다고 주장했다.[15] ''패미통'' 리뷰어들도 새턴 버전의 높은 이식도와 짧은 로딩 시간을 칭찬했지만, 일부는 새턴 버전만의 새로운 요소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반면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 대해서는 느려짐 현상, 끊기는 화면 스크롤, 인상적이지 않은 오프닝 영상 등을 이유로 ''패미통''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14] 도쿠마 서점의 잡지 독자 투표에서도 새턴판(SATURN FAN)은 합계 24.2점(만점 30점)으로 고평가를 받았으나, 플레이스테이션판(PlayStation Magazine)은 합계 19.1점(만점 30점)으로 표준적인 평가를 받았고, "아케이드판에 비해 전체적인 처리가 늦어져 버린 점이 매우 아쉽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PC 게이머 US의 대니얼 에릭슨은 Windows 버전을 리뷰하며, 게임이 예전만큼 인상적이지는 않지만 게임플레이와 반응성 좋은 조작 덕분에 슈팅 게임 팬이라면 구매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며 74% 점수를 주었다.[18][47]

8. 한국에서의 인기 및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에서의 인기 및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소스는 주로 일본 및 서구권에서의 게임 평가와 반응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습니다.

참조

[1] 서적 Darius Gaiden Instruction Manual (Sega Saturn) Taito 1995-12-15
[2] 뉴스 Gen-32 Japan Soft - Darius Gaiden https://archive.org/[...] DieHard Gamers Club 2020-05-29
[3] 뉴스 Taito's F3 Arcade System https://archive.org/[...] DieHard Gamers Club 2020-05-29
[4] 서적 ダラ外インタビュー https://archive.org/[...] Shinseisha 1995-03-20
[5] 서적 Taito Cybercore System promotional flyer https://flyers.arcad[...] Taito 2020-05-28
[6] 웹사이트 Interview: Hisayoshi Ogura of Ogura Hisayoshi Ongaseisakushow and Taito/ZUNTATA http://gaming.moe/?p[...] 2020-05-28
[7] 웹사이트 Zuntata – 2009 Darius Odyssey Book Interview http://shmuplations.[...] 2020-05-28
[8] 서적 アーケードTVゲームリスト国内•海外編(1971-2005) https://archive.org/[...] Amusement News Agency 2019-08-16
[9] 뉴스 Taito sales flyer https://onitama.tv/g[...] Amusement Press 2020-05-28
[10] 웹사이트 Taito Legends 2 Review http://www.ign.com/a[...] IGN 2020-05-28
[11] 웹사이트 Darius Series Headed To Nintendo Switch As Darius Cozmic Collection https://www.silicone[...] Curse, Inc. 2020-05-28
[12] 간행물 Review Crew: Darius Gaiden Sendai Publishing 1996-03
[13] 간행물 ダライアス外伝 (SS)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20-05-28
[14] 간행물 ダライアス外伝 (PS)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20-05-28
[15] 뉴스 Viewpoint - Darius Gaiden https://archive.org/[...] DieHard Gamers Club 2020-05-28
[16] 뉴스 ProReview - Darius Gaiden (Sega Saturn)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Data Group 2020-05-28
[17] 간행물 Every Sega Saturn Game Played, Reviewed, and Rated Imagine Media 1997-01
[18] 웹사이트 Reviews: Darius Gaiden http://www.pcgamer.c[...] Future plc 2020-05-28
[19] 간행물 Review: Darius Emap International Limited 1996-03
[20] 서적 GAMEST MOOK Vol.112 ザ・ベストゲーム2 アーケードビデオゲーム26年の歴史 https://archive.org/[...] Gamest 1998-01-17
[21] 간행물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TVゲーム機ーソフトウェア (Video Game Software) http://onitama.tv/ga[...] Amusement Press 1994-11-01
[22] 웹사이트 Game Search (based on Famitsu data) https://sites.google[...] 2020-03-16
[23] 웹사이트 Darius retrospective http://www.eurogamer[...] Gamer Network 2020-05-28
[24] 웹사이트 Darius Gaiden http://www.hardcoreg[...] 2020-05-28
[25] 문서 『ダライアスII』にはトーチカ、『Gダライアス』にはキャプチャーボムという、ボンバーと似たような効果を発動できるシステムが存在する。
[26] 문서 続編の『Gダライアス』ではこのシステムを発展させ、中ボス以外にも雑魚キャラなど殆どの敵を自由にキャプチャーできるようになった。
[27] 문서 「ダライアス」は他の多くのシリーズ作品同様に選択したルートによるマルチエンディングが採用されているが、本作はダライアスのゾーンWクリア時のエンディングから派生したストーリーとなっている。
[28] 문서 特に説明が無い限りは、各面のゾーンは上ルートからアルファベット順に並んでいる。中ボスBGMボスBGM特に記載が無い限りはモチーフと名称は同じである
[29] 문서 ☆・・・ダライアス第1作に登場したボス。出現前に第1作同様に分裂する機雷が出現する。VERMILION CORONATUSは第1作ではGREEN CORONATUS。
[30] 문서 ZONE A→ボス→ゾーンセレクト→ZONE BorCで途切れず、ひとつながりで演奏される。
[31] 문서 正確にはキアンコウ属の仔魚→稚魚
[32] 문서 実際はチョッカクガイ
[33] 문서 面の並びは、上から、Z',V,W,X,Y,Z,V'の順。
[34] 문서 ステージとボスで途切れず、ひとつながりで演奏される。
[35] 웹사이트 歴代『ダライアス』作品を移植した『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 がNintendo Switchで発売決定! 発売日は2019年2月28日予定 https://www.famitsu.[...] KADOKAWA 2018-07-02
[36] 웹사이트 Switch『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が2019年2月28日に発売。初代『ダライアス』や『外伝』を収録 https://dengekionlin[...] KADOKAWA 2021-08-08
[37] 웹사이트 歴代の「ダライアス」シリーズを移植した「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が本日発売。ポスターやグッズが当たる発売記念イベントも開催 https://www.4gamer.n[...] Aetas 2021-08-08
[38] 웹사이트 『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PS4・DL版が3月5日に配信決定! 収録要素が違う2バージョンが発売 https://www.famitsu.[...] KADOKAWA 2021-08-08
[39] 웹사이트 PS4版「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の発売日が3月5日に決定。コンシューマーエディションには新規3タイトルを収録 https://www.4gamer.n[...] Aetas 2021-08-08
[40] 웹사이트 PS4版「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本日発売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21-08-08
[41] 웹사이트 https://taito.co.jp/[...]
[42] 문서 EGRET II mini https://www.zuiki.co[...]
[43] 뉴스 『ダライアス コズミックコレクション』名作の復活に懸けるタイトーとエムツーのキーマンによるスペシャル座談会 https://www.famitsu.[...] Gzブレイン 2018-12-05
[44] 웹사이트 Darius Gaiden for SEGA Saturn (1995)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21-08-08
[45] 뉴스 Darius Gaiden Review EGM Media, LLC 1996-03
[46] 뉴스 Review: Darius Emap International Limited 1996-03
[47] 웹사이트 Darius Gaiden for Windows (1995)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21-08-09
[48] 웹사이트 ダライアス外伝 まとめ [セガサターン]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16-02-13
[49] 웹사이트 ダライアス外伝 まとめ [PS]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16-02-13
[50] 웹인용 Taito Cybercore System http://www.arcadefly[...] 2011-01-11
[51] 웹인용 PC Gamer: Darius Gaiden http://www.pcgamer.c[...] PC Gamer 2011-01-19
[52] 잡지 Review Crew: Darius Gaiden Sendai Publishing 1996-03
[53] 잡지 Every Sega Saturn Game Played, Reviewed, and Rated Imagine Media 1997-01
[54] 잡지 Review: Darius Emap International Limited 199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